봉차트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서 지난 번 포스팅에 이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식은 상상력입니다. 봉차트의 패턴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수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의 산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집단 지성의 결과물. 이러한 패턴대로 주식시장이 움직인다면 돈 잃는 사람은 없을텐데. 다만 이러한 패턴을 통해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정도는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표와 패턴은 보조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인버티드
해머(역망치형) |
주로 하락 추세의 하단에서
발생하며 상승 반전 가능성에 대한 알림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전 패턴은 그 자체로 구매하라는 신호가 아니라 잠재적 가격 변동에 대한
알림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후 나오는 신호에 대해 hold 내지는 매매를 판단. |
해머(망치형) |
주로
하락 추세의 하단에서 발생하는 강한 반전 신호로로 평가된다. 꼬리가 길다는 것은 일종의 테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저점 확인 후 강한
매수세의 유입으로 매도세와 팽팽히 대립한다. |
불리쉬 벨트
홀드(하락추세) |
주로
하락 추세의 끝에서 앞에서 배운 Opening White 마루보즈 캔들이 나타나는 형상으로 이 패턴 자체 만으로는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지만 인접 패턴과의 관계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 홀드라는 이름에서 보듯 해당 패턴 주변으로 강한 보합이 지속될 수 있다. |
불리쉬
인걸핑(상승장악형) |
작명에서
보듯 양봉이 하락 추세의 음봉보다 길어 마치 음봉을 집어 삼킨 듯한 패턴이다. 해석적 의미는 오전장의 강한 매도세를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감정적 변화로 인해 고점 근처에서 종가를 형성한다. 이 신호를 보고 들어가도 되고 이 가격대의 지지 여부를 확인 후 들어가도 좋다 |
하라미(상승잉태형) |
하라미는
일본어로 임신의 뜻으로서 두개의 Candle을 보면 두번째 봉을 잉태한 모양을 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두번째 봉의 방향성이 결정되지
않았으니 매매에 대한 결정을 보류하는 의미로 해석하면 좋겠다. |
하라미
크로스(하락십자잉태형) |
하라미
형태에서 두번째 Candle이 도지 형태를 띄는데 하락 추세에서 나타나서 상승 반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
두개의
캔들을 통해 확인되며 시가의 Gap 하락이 있으나 종가에서 전전날 캔들의 종가 근처에서 마감된다. 이는 매수세가 매도 세력을 압도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Candle 패턴 자체로는 예측이 어려우며 이후에 뒤따르는 Candle과 함께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다. 장기, 단기 반전
여부, 예상 주가 판단이 어려워 제한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
피어싱라인(관통형) |
두개의
캔들을 통해 확인되며 시가의 Gap 하락이 있으나 종가에서 전전날 캔들 Body의 50% 이상에서서 마감된다. 일전에 포스팅한
engulfing보다는 매수세가 약하지만 이 역시도 상승의 Signal로 봐도 되겠다. |
모닝스타(샛별형) |
세
개의 Candle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기술 분석가들에 의해 강세 신호로 해석된다. 하락 추세에 따라 모팅스타 Candle이 형성되며 상승의
시작을 나타낸다. 이전 가격 흐름에서 역전을 예고한다. 시장 참여자는 모닝스타의 형성을 지켜본 뒤 추가 지표를 이용해 실제로 반전이
일어나고 있다는 확인이 필요하다. |
모닝 도지
스타(샛별도지형) |
세
개의 Candle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하락 추세의 최저점에서 형성된 Candle 모양이 모닝스타냐 도지 형태냐로 구분되나 의미는 사뭇
비슷하다 할 수 있다. |
어밴던드
베이비(하락추세) |
세
개의 Candle에서 최저점에서 형성된 도지 형태의 Candle에 따라 명명되는게 많은 만큼 반전의 신호로 활용성이 많은게 도지이다. 특히
이 도지 Candle이 세 개의 캔들에서 이격도가 가장 클 경우 이와 같이 명명한다. 단기간에 반전 신호로서 활용해도 좋다.(상승에서는
하락 추세, 하락에서는 상승추세로의 반전) |
쓰리 인사이드
업(상승추세) |
커다란
하락 음봉 이후 뒤따르는 짧은 양봉 두개가 음봉을 벗어 나는 형태를 띈다. 커다란 음봉에서 매도세이 정점을 찍고 그 다음날 단기 매수
세력에게 빠져나갈 기회를 준 이후 반전의 신호를 준다고 해석한다. |
쓰리 아웃사이드
업(하락추세) |
위의 패턴보다 강력한 매수세력이 나타나서 음봉을 집어 삼키는 큰 양봉이 연이여
나타난다. 상승 반전을 나태내는 패턴들중 가장 큰 반전신호가 아닐까 생각한다. |
|
업사이드 갭 투 크로우즈
다운(하락추세 까마귀형) |
세개의
Candle에서 첫째날 음봉이 나타나고 이후 2개의 양봉이 첫째날 음봉의 종가를 뚫지 못하는 형태를 띈다. 결국 매수의 힘이 매도세에 의해
확실히 억제되는 형국이다. 관망세가 필요한 패턴이다. |
불리쉬 도지 스타 |
두개이
Candle중 첫번째 음봉과 두번째 도지 사이의 간격을 이후 나오는 Candle이 얼마나 메꾸는지에 따라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 |
트위저즈 보텀(바닥형
집게) |
두개의
Candle중 첫번째 음봉의 길이에 버금가는 두번째 양봉이 등장의로 추세 반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