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반대의 경우를 볼까 한다. 적삼병이 있다면 청삼병이나 다른 x삼병이 있을거라 했는데 흑삼병이라고 있었네.
설명하자면 상승 추세에서 양봉 또는 도지가 발생한 이후 고점과 저점을 낮추는 3개의 연속된 음봉 출현을 흑삼병이라고 하여 추세 하락의 중요한 기준으로 본다고 한다. 결국 매도 세력이 매수 세력을 압도하는 의미로 해석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 5일 혹은 10일 이평선 돌파시 이전 글에서 봐왔 듯이 봉차트의 신뢰도를 높여주겠지. 아래 현대 자동차 차트에서 흑삼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어떻게 되었을까?
아래와 같이 재차 상승하는 그래프가 만들어졌다. 물론 저 이후 그림에서 추가 하락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봉차트의 맹신으로는 시장을 해석할 수 없다는 예시를 들고자 본 차트만 올렸다.
앞서 올린 글과 함께 봉차트가 보여주는 세력의 움직임은 해석할 수 있으나 대세적인 흐름을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 않나 싶다.
이후 글에도 몇가지 대표적인 봉차트 패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이야기는 왜 지키기가 어려울까요 (0) | 2020.07.12 |
---|---|
봉차트 종류와 설명-2 (0) | 2020.07.12 |
봉차트 종류와 설명-1 (0) | 2020.07.05 |
UWB 관련주 (0) | 2020.06.22 |
주식 차트 분석 무용론-1 (0) | 2020.06.19 |